HTTP 완벽 가이드 8장 8장 통합점: 게이트웨이, 터널, 릴레이1. 게이트웨이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 간의 HTTP 인터페이스이다. 웹에서 더 복잡한 리소스들을 한 개의 애플리케이션으로만 처리할 수 없어져,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리소스를 받기 위한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가 고안되었다. 게이트웨이는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박은재 2022-11-07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7장 6장 캐시웹 캐시란?자주 쓰이는 문서의 사본을 자동으로 보관하는 HTTP 장치로, 웹 요청이 캐시에 도착했을 때 캐시된 로컬 사본이 존재한다면, 원 서버가 아니라 캐시로부터 제공된다. 웹 캐시의 혜택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줄여서 네트워크 비용을 줄여준다. 네트워크 병목을 줄여준다. 대역폭을 늘리지 않고도 페이지를 빨리 불러 올 수 있다. 원 서버에 대한 조덕행 2022-11-01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6장 6장 Proxy1. 웹 중개자프락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한다.HTTP 프락시 서버는 웹 서버이기도 하고 웹 클라언트이기도 하다. (요청을 중개한다.) 공용 프락시대부분의 프락시는 공용이며 공유된 프락시이다.여러 사람들의 공통된 요청이 발생하면 효율성이 발휘된다. 개인 프락시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직접 실행되는 형태로 흔 유형철 2022-10-18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4장 4장 커넥션 관리1. TCP 커넥션HTTP 통신은 TCP/IP를 통해 이루어진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 커넥션은 인터넷을 안정적으로 연결해준다. TCP는 충돌 없이 순서에 맞게 HTTP 데이터를 전달한다. TCP는 IP 패킷이라 불리는 작은 조각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TCP 커 박은재 2022-10-04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3장 3장 HTTP 메시지1. 메시지의 흐름HTTP 메시지란? HTTP 애플리케이션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블록들 HTTP 메시지의 흐름클라이언트 <-> 프록시 <-> 서버 사이를 흐른다.메시지 방향과 관련한 용어로는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업스트림, 다운스트림가 있다.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라는 용어는 트랜잭션 방향을 표 조덕행 2022-09-27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Lit-Element + 아토믹 패턴 Lit-Element + 아토믹 패턴아토믹 패턴이란?컴포넌트의 재사용성 을 고려하여 원자(Atomic) 단위로 분리하여 설계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요소의 조합을 통해 작은 기능을 가진 원자 부터 하나의 페이지 까지를 구현합니다. 요소와 역할원자 Atoms기능의 최소 단위이자, 최소 단위의 컴포넌트어떠한 환경이 주어지든 컴포넌트가 생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범용 조덕행 2022-09-23 Lit-Element Lit-Element
k8s 1.22 -> 1.23 변경사항 정리 1.23에서 stable로 변경된 문서들(변경 en:11, ko: 8) Container Runtime Interface (CRI) IPv4/IPv6 dual-stack IngressClass scope Generic ephemeral volumes Automatic Clean-up for Finished Jobs TTL mechanism for fini 강태욱 2022-09-21 Kubernetes Kubernetes
HTTP 완벽 가이드 2장 2장 URL과 리소스인터넷의 리소스 탐색하기URL(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리소스의 위치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구성됨애플리케이션 및 웹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리소스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 문법 1<스킴>://<사용자 이름>:<비밀번호>@<호스트>:<포트>/<경로 유형철 2022-09-20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
아키텍처 변천사 간략한 정리 아키텍처 변천사 아무렇게나 코드를 던져두면 필요할 때마다 찾기가 힘듦 그래서 개발자들은 비슷한 코드를 모아 서로 이해할 수 있게 분류하기로 결정(아키텍처 = 모두가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구조) 그런데 개발의 시간이 흐르면서 분류 방식에 대한 논쟁 및 트렌드 변경으로 각 아키텍처에 대한 차이를 알고 이해하기 위해 글을 작성 header 강태욱 2022-09-20 아키텍처 아키텍처
HTTP 완벽 가이드 1장 HTTP 완벽 가이드 1장: HTTP 개관 목차마다 무엇을 알아야하는지 정리 목차 1장 키워드들 HTTP 웹 리소스 MIME 타입 URI, URL, URN HTTP 메시지 Request(시작줄, 헤더, 본문) Response(상태줄, 헤더, 본문) 메서드, 상태코드 TCP 커넥션 프로토콜 버전 웹 구성요소 프록시, 캐시, 게이트웨이, 터널, 강태욱 2022-09-17 HTTP 완벽 가이드 HTTP 완벽 가이드